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자료구조 시작하기.
   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2023. 11. 13. 10:25

    0. 데이터와 정보

    - 자료구조를 배우기 앞서 자료구조의 재료가 되는 데이터와 정보에 개념을 알아야 한다.

     

    데이터란 무엇인가?

    데이터의 사전적 정의를 검색 플랫폼별 검색을 해보았다.

    • 네이버 : 이론을 세우는 데 기초가 되는 사실. 또는 바탕이 되는 자료.
    • 위키백과:  문자, 숫자, 소리, 그림, 영상등의 형태로 된 의미 단위이다. 연구나 조사 등의 바탕이 되는 재료
    • 옥스포드 사전 : 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있는 형태로 기호화 한 자료
    • ChatGPT : 정보의 표현이나 기록된 사실, 숫자, 문자 또는 다른 기호로 표현된 모든 형태의 자료를 의미.
    • 또 다른 사전 : 어떤 값을 포함하고 있는 가공되지 않은 1차 자료

    위 정의들을 종합해보면, 결과적으로 데이터어떤 대상의 원천이 되는 가공되지 않은 자료라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.

     

    정보란 무엇인가?

    위에서 정의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공/처리하여 의미를 부여한 형태의 자료를 의미한다.

     

    아래 좌측 이미지의 각 볼펜 통에 존재하는 각각의 펜들을 데이터로 정의할 수 있으며,

    우측과 같이 각 색상별로 구분하여 각 볼펜들의 의미를 부여한 상태를 정보라고 표현할 수 있다.

    아래 내용은 GPT에게 질문하여 얻은 데이터와 정보의 차이에 대한 답변이다.

    데이터와 정보는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, 다음과 같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:
    1. 형태와 가공: 데이터는 원시 상태로 수집된 정보로, 단순히 숫자, 문자, 기호 또는 그림의 형태일 수 있습니다. 정보는 데이터를 가공하고 해석하여 유용한 의미를 부여한 것입니다.
    2. 의미와 해석: 데이터는 그 자체로는 의미를 가지지 않습니다. 정보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처리하여 의미 있는 내용으로 변환된 것입니다. 예를 들어, 온도 센서로부터 수집한 숫자 데이터는 데이터입니다. 그러나 "현재 온도는 25°C입니다"라는 문장은 정보입니다.
    3. 의사 결정 지원: 정보는 의사 결정을 돕는 데 사용됩니다. 정보는 의미 있는 컨텍스트 내에서 제공되며, 사람이나 시스템이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. 데이터는 결정을 내리기 위한 입력물로 사용됩니다.
    4. 가치와 활용: 정보는 가치가 있는 지식이며, 조직이나 개인이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것입니다. 데이터는 정보로 가공되어야 비로소 가치를 가집니다. 데이터는 정보의 원천이 될 수 있지만, 그 자체로는 정보가 아닙니다.
    5. 정확성과 완전성: 정보는 일반적으로 정확하고 완전하며,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합니다. 데이터는 오류나 불완전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, 해석 및 가공 단계에서 오류가 수정되거나 누락된 정보가 보충됩니다.

     

    1. 자료구조란 무엇인가?

    정의 : 한정된 메모리 공간 안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직화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.

    위 이미지와 정의를 통해 내 개인적으로 해석한 자료구조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.

     

    모든 정보 시스템에 근간이 되는 자료(data)는 특정 가공을 통해 의미있는 상태인 정보로 가공해야 하는데, 이 자료(data)를 효율적으로 조직화하기 위해 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변환하는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.

     

    2. 자료구조의 종류와 구분

    자료구조는 크게 단순구조비단순구조로 구분하며, 단순구조는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변수의 자료형과 같은 형태를 의미하며, 비단순구조는 이외에 모든 데이터의 구조를 의미한다.

    단순구조 : 단순구조는 선언 및 초기화 정도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기본 변수 타입

    비단순구조 : 단순하게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가 아니라, 데이터의 목적에 맞게 효과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

     

    결론적으로 자료구조를 공부한다는 의미는 위 자료구조의 종류 중 비단순구조 자료구조에 대한 개념 / 구조 / 활용법 등을 학습한다고 할수 있다.

     

    현재 직장생활을 하며 실무에서 실제 사용된 자료구조의 형태는 Queue, Stack, Heap, List, Array, Tree 정도를 보았으며, 이 외에도 다양한 자료구조의 형태가 쓰인다는 이야기들을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듣게 되었다.

     

    학교생활을 하며 자료구조 조교로도 활동을 했지만, 그럼에도 자료구조에 대하여 개념적으로 알고 있는가를 체크해보니 이미 다 잊어먹은 상태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, 자료구조 인터넷 강좌를 들으면서 다시 한번 공부를 진행해보려고 한다.

Designed by Tistory.